ISMS-P 인증
2.10.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
2.10.1. 보안시스템 운영
2.10.2. 클라우드 보안
2.10.3. 공개서버 보안
2.10.4. 전자거래 및 핀테크 보안
2.10.5. 정보전송 보안
2.10.6 업무용 단말기기 보안
2.10.7. 보조저장매체 보안
2.10.8. 패치관리
2.10.9. 악성코드 통제
ISMS-P 간편인증(7의2)
2.9.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
2.9.1. 보안시스템 운영
2.9.2. 클라우드 보안
2.9.3. 공개서버 보안
2.9.4. 업무용 단말기 보안
2.9.5. 보조저장매체 관리
2.9.6. 패치관리
2.9.7. 악성코드 통제
ISMS-P 간편인증(7의3)
2.10.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
2.10.1. 보안시스템 운영
2.10.2. 업무용 단말기 보안
2.10.3. 보조저장매체 관리
2.10.4. 패치관리
2.10.5. 악성코드 통제
(7의2) 대상: 소기업,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미만의 중기업
(7의3) 대상: 주요 정보통신설비를 보유하지 않은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이상의 중기업
개요
인증기준
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( SaaS, PaaS, IaaS 등)에 따른 비인가 접근, 설정 오류 등에 따라 중요정보와 개인정보가 유·노출되지 않도록 관리자 접근 및 보안 설정 등에 대한 보호대책을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주요확인사항
*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계약서(SLA 등)에 반영하고 있는가?
*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보안위험을 평가하여 비인가 접근, 설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안 구성 및 설정 기준, 보안설정 변경 및 승인 절차, 안전한 접속방법, 권한 체계 등 보안 통제 정책을 수립‧이행하고 있는가?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은 역할에 따라 최소화하여 부여하고 관리자 권한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, 권한 오남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, 암호화, 접근통제, 감사기록 등 보호대책을 적용하고 있는가?
*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 설정 변경, 운영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그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있는가?
세부 설명
1. 책임관계 명확화 및 SLA 반영
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, 이를 계약서(SLA 등)에 반영하여야 한다.
2. 클라우드 보안 위험 평가 및 정책 수립·이행
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보안위험을 평가하여 비인가 접근, 설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있도록 보안 구성 및 설정 기준, 보안설정 변경 및 승인 절차, 안전한 접속방법, 권한 체계 등 보안 통제 정책을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*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위험 평가 : 서비스 품질 및 연속성, 법적 준거성, 보안성 측면 등 고려
*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위험평가 결과를 반영한 보안통제 정책 수립·이행
※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통제 정책(예시)(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특성 반영 필요)
* 보안 관리 관련 역할 및 책임
* 사설 네트워크 보안 구성 및 접근통제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계정 및 권한 관리(최고관리자 및 분야별 관리자 등)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에 대한 강화된 인증(OTP 등)
* 보안 설정 기준(인증, 암호화, 세션관리, 접근통제, 공개설정, 장기미사용 잠금, 로그기록, 백업 등)
* 보안 설정 등록·변경·삭제 절차(신청, 승인 등)
* 보안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적절성 검토
* 클라우드 관리콘솔에 대한 접근통제 및 권한 관리 절차
* Access Key의 발급, 이용, 회수 등에 대한 관리 절차
* 클라우드 서비스 원격접속 경로 및 방법(VPN, IP제한, 2 Factor 인증 등)
*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관제 및 알람·모니터링 방안
* 보안감사 절차 등
3.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최소화 및 통제
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은 역할에 따라 최소화하여 부여하고, 관리자 권한에 대한 비인가 접근, 권한 오·남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, 암호화, 접근통제, 감사기록 등 보호대책을 적용하여야 한다.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세분화 : 최고관리자, 가상네트워크 관리자, 보안관리자, DevOps 관리자 등
* 업무 및 역할에 따라 관리자 권한 최소화 부여
* 클라우드 관리자 권한 접속에 대한 강화된 인증 적용 : OTP, 보안키 등
* 원격 접속 구간에 대한 통신 암호화 또는 VPN 적용
* 클라우드 관리자 접속, 권한 설정에 대한 상세 로그 기록 및 모니터링 등
4. 클라우드 보안 설정 관리
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설정 변경, 운영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, 그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.
*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승인받지 않은 환경설정 및 보안설정 변경을 적발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및 모니터링
*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설정의 적정성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 및 조치
(주의사항)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접근, 정보시스템 접근, 데이터베이스 접근, 응용프로그램 접근 등 접근통제의 적절성, 인증 및 권한관리, 암호화,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 등 기타 필요한 보호조치가 모두 적용되어야 함.
증거자료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계약서 및 SLA
*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분석 결과
*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통제 정책
*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부여 현황
*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도
*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설정 현황
*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설정 적정성 검토 이력
결함사례
*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서 내에 보안에 대한 책임 및 역할 등에 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
*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업무상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직원들에게 과도하게 부여되어 있는 경우
* 내부 지침에는 클라우드 내 사설 네트워크의 접근통제 룰(Rule) 변경 시 보안책임자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으나, 승인절차를 거치지 않고 등록·변경된 접근제어 룰이 다수 발견된 경우
*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설정 오류로 내부 로그 파일이 인터넷을 통하여 공개되어 있는 경우
참고 문헌
*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안내서(KISA, 2023.11.23)
'ISMS-P 인증 기준 > 보호대책 요구사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SMS-P 인증 기준, 전자거래 및 핀테크 보안 (0) | 2025.04.08 |
---|---|
ISMS-P 인증 기준, 공개서버 보안 (0) | 2025.04.07 |
ISMS-P 인증 기준, 보안시스템 운영 (0) | 2025.04.03 |
ISMS-P 인증 기준, 정보자산의 재사용 및 폐기 (0) | 2025.04.02 |
ISMS-P 인증 기준, 시간 동기화 (0) | 2025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