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SMS-P 인증 기준/보호대책 요구사항

ISMS-P 인증 기준, 운영환경 이관

세진파파 2025. 3. 24. 18:00
반응형

 

ISMS-P 인증 

2.8 정보시스템 도입 및 개발 보안

2.8.1 보안 요구사항 정의

2.8.2 보안 요구사항 검토 및 시험

2.8.3 시험과 운영 환경 분리

2.8.4 시험 데이터 보안

2.8.5 소스 프로그램 관리

2.8.6 운영환경 이관

 

ISMS-P 간편인증(7의2)

2.7 정보시스템 도입 및 개발 보안

2.7.1 보안 요구사항 정의

2.7.2 시험과 운영 환경 분리

2.7.3 시험 데이터 보안

2.7.4 소스 프로그램 관리

 

ISMS-P 간편인증(7의3) 

2.8 정보시스템 도입 및 개발 보안

2.8.1 보안 요구사항 정의

2.8.2 시험 데이터 보안

2.8.3 소스 프로그램 관리

 

(7의2) 대상: 소기업,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미만의 중기업
(7의3) 대상: 주요 정보통신설비를 보유하지 않은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이상의 중기업

 

 

개요

인증기준

신규 도입·개발 또는 변경된 시스템을 운영환경으로 이관할 때는 통제된 절차를 따라야 하고, 실행코드는 시험 및 사용자 인수 절차에 따라 실행되어야 한다.

 

주요확인사항

* 신규 도입‧개발 및 변경된 시스템을 운영환경으로 안전하게 이관하기 위한 통제 절차를 수립‧이행하고 있는가?
* 운영환경으로의 이관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가?
* 운영환경에는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파일만을 설치하고 있는가?

세부 설명

1. 신규 도입·개발 및 변경된 시스템을 운영환경으로 안전하게 이관하기 위한 통제 절차를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
* 개발자 본인 이외의 이관담당자 지정
* 시험 완료 여부 확인
* 이관 전략(단계적 이관, 일괄적 이관 등)
* 이관 시 문제 대응 방안(복귀 방안, 이전 버전의 시스템 보관 방안 등)
* 이관에 대한 책임자 승인
* 이관에 대한 기록 보존 및 검토 등

 

※ 클라우드 환경에서 DevOps 방식을 적용한 경우, CI/CD 파이프라인 상에서 통제된 절차에 따라 운영환경으로의 안전한 배포가 수행될 수 있도록 DevSecOps 관점의 통제 방안 적용 (개정 23.11.23)

2. 운영환경으로 이관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.

* 운영환경으로 정보시스템 이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복귀(Rollback) 방안
* 이전 버전의 시스템 보관 방안(소프트웨어, 부가 프로그램, 구성파일, 파라미터 등) 등

 

3. 운영환경에는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파일만을 설치하여야 한다.

* 운영환경에는 승인되지 않은 개발도구(편집기 등), 소스 프로그램 및 백업본, 업무 문서 등 서비스 실행에 불필요한 파일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

 

증거자료

* 이관 절차
* 이관 내역(신청·승인, 시험, 이관 등)

결함사례

* 개발·변경이 완료된 소스 프로그램을 운영환경으로 이관 시 검토·승인하는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
* 운영서버에 서비스 실행에 불필요한 파일(소스코드 또는 배포모듈, 백업본, 개발 관련 문서, 매뉴얼 등)이 존재하는 경우
* 내부 지침에 운영환경 이관 시 안전한 이관·복구를 위하여 변경작업 요청서 및 결과서를 작성하도록 정하고 있으나, 관련 문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
* 내부 지침에는 모바일 앱을 앱마켓에 배포하는 경우 내부 검토 및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으나, 개발자가 해당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의로 앱마켓에 배포하고 있는 경우 (개정 23.11.23)

참고 문헌

*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안내서(KISA, 2023.11.23)

ISMS-P 인증기준 안내서(2023.11.23).pdf
8.11MB

반응형